내가 돈을 벌면
그에 따른 세금을 내야 한다?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벌어들인 소득에 대해 세금을 내야 하는데요.
이 세금을 '소득세'라고 해요.
오늘은 이 소득세의 종류와 금액에 따른 세금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1. 소득세 종류
본업을 넘어 부업을 뛰는 직장인들, 투잡의 시대
돈을 버는 방법은 참 다양하죠~
요즘처럼 본업이 있으면서 투잡으로 부업을 뛰는 사람들이 많은 시기에는, 근로소득 외에 다른 소득을 궁금해하시는 분들이 많더라고요. 😊
우리나라 소득세의 종류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바로 근로소득세·사업소득세·이자소득세·배당소득세·연금소득세·기타소득세·퇴직소득세, 그리고 양도소득세가 있어요.
나열해보니 정말 다양한 소득이 있지요?
📌그렇다면, 소득의 종류에 따른 부과대상과 과세방법을 알아볼게요.
소득세는 소득을 얻은 방법에 따라 8가지로 나뉘어 있어요. ⤵️
소득세의 종류와 부과 대상, 과세방법
소득세의 종류에 따라 과세 방법이 달라져요.
📌 종합과세는 근로소득부터 기타소득까지 모든 소득을 합쳐서 걷는 과세 방식이에요,
📌 분류과세는 종합과세 하기에는 금액이 너무 커서 따로 분류해서 걷는 과세 방식이에요.
이와 별개로 ‘분리과세’도 있어요.
📌 분리과세는 그때그때 바로 세금을 떼가는 방식이에요. 따로 신고를 안 해도 돼요.
연간 2,000만원 이하의 이자 & 배당소득, 일용 근로 소득 등이 분리과세 대상이에요.
2. 소득세 계산 방법
소득 구간, 소득세율
내가 내야 하는 소득세는 어떻게 계산할까요?
✔️우리나라는 더 많이 벌수록 세금을 더 많이 내는 ‘누진세’가 적용되는데요.
세금을 매기는 기준(과세표준)에 따라 소득 범위가 8개 구간으로 나뉘어있어요.
아래의 표는 종합소득세와 양도소득세, 퇴직소득세에 똑같이 적용되는 기본세율이에요.🔽
과세표준 | 기본세율 |
1,400만원 이하 | 6% |
1,400만원 초과~5,000만원 이하 | 15% |
5,000만원 초과~8,800만원 이하 | 24% |
8,800만원 초과~1억5천만원 이하 | 35% |
1억5천만원 초과~3억원 이하 | 38% |
3억원 초과~5억원 이하 | 40% |
5억원 초과~10억원 이하 | 42% |
10억원 초과 | 45% |
✔️소득세 종류에 따른 기간이나 공제 항목 등이 다르기 때문에 꼼꼼히 따져보시길 바랄게요!
3. 소득세 개념 중 종합소득세란?
'종합소득세'라고 많이 들어보셨죠?
종합소득세란 한 사람이 1년간 번 소득에 매기는 세금이에요.
양도소득과 퇴직소득을 빼고는 모두 종합소득세 대상인데요.
✔️ 근로소득, 사업소득, 이자소득, 배당소득, 연금소득, 기타소득이 종합소득에 해당돼요.
✅ 종합소득세(종합과세 대상) 신고 대상과 방법
소득세 종류에 따라 신고 방법과 시기가 달라요.
- ✔️ 직장인의 근로소득은 연말정산
근로소득만 있는 직장인이라면 매년 1월에 연말정산을 하면 돼요. 국세청 홈택스에서 자료를 받아 회사에 제출하면, 회사가 대신 신고해줘요.

- ✔️ 근로소득 외 다른 소득이 있다면 종합소득세 신고
근로소득 외 종합과세 대상 소득이 있다면 매년 5월에 종합소득세 신고를 해야 돼요. 프리랜서, 개인사업자가 여기에 해당돼요. 연말정산을 마친 직장인도 사이드잡으로 추가 소득이 있다면 해야 하고요.
4. 소득세 개념 중 퇴직소득세란?
퇴직소득세란 회사에 속한 근로자가 1년 이상 일하고 퇴직할 때 받는 퇴직금에 매기는 세금이에요.
퇴직금을 받을 때 세금을 떼가기 때문에 따로 신고하거나 낼 필요는 없어요.
퇴직소득세는 일한 기간과 퇴직급여액에 따라 달라지는데요. 오래 일할수록 세금을 덜 내는 구조예요.
📌내가 받을 퇴직금 실수령액이 궁금하다면 고용노동부 퇴직금 계산기를 확용해 보세요. ⤵️
오늘은
다음 시간엔 양도소득세와 금투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포스팅이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
'├─ 경제 생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아두면 좋은 세금 시리즈 1 - 3. 재산세 감면 신청, 대상, 방법, 절세 방법, 2025 재산세 달라지는 점 (0) | 2025.07.13 |
---|---|
알아두면 좋은 세금 시리즈 1 - 2. 재산세 부과기준, 과세표준, 기준일, 납부방법 알아보기 (0) | 2025.07.12 |
알아두면 좋은 세금 시리즈 1 - 1. 금투세 폐지 확정, 금투세 뜻 개념 (0) | 2025.07.11 |
민생회복 소비쿠폰 자주 묻는 질문 정리 3 (0) | 2025.07.10 |
민생회복 소비쿠폰 자주 묻는 질문 정리 2 (0) | 2025.07.10 |
민생회복 소비쿠폰 자주 묻는 질문 정리 1 (0) | 2025.07.10 |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 사용처, 지원금액 (0) | 2025.07.10 |
자동차세 할인 방법, 납부방법, 자동차세 조회, 자주 묻는 질문 정리 (0) | 2025.07.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