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주식 양도소득세가 무엇일까요?
예금, 적금만 하지 않고 주식 투자도 하는 분들 요즘 많으시죠?
주식 투자를 할 경우에는 주식을 팔고 남은 수익에 대해서 세금도 내야하는 거 알고 계신가요?
오늘은 국내주식 양도소득세, 비상장주식 양도소득세, 주식 양도세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1. 국내주식 양도소득세란?
주식 양도소득세(양도세)는 소득세의 한 종류로, 주식을 팔아 이익이 생겼을 때 내는 세금이에요.
📌해외 주식 투자자는 연간 수익이 250만원이 넘으면 해외주식 양도소득세를 내야 합니다.
참고로, 국내 주식 양도소득세는 보통 대주주만 내기 때문에,
대부분의 개인 투자자(개미)는 내지 않아요.
2. 국내주식 양도소득세 시장별 대주주 기준
그렇다면 국내 주식 양도소득세를 내는 '대주주'란 어떤 사람을 말할까요?
대주주란 '특정 기업의 주식을 일정 비율 이상 갖고 있는 주주'입니다.
📌2024년부터 대주주 요건이 완화된 것 아시나요?
주식을 50억원(비상장주식은 10억원) 이상 또는 코스피 기준 1% 이상 갖고 있으면 대주주예요.
시장 | 대주주 기준 (2024.01.01. 이후 양도) |
코스피 | 1% 또는 50억원 이상 |
코스닥 | 2% 또는 50억원 이상 |
코넥스 | 4% 또는 50억원 이상 |
비상장* | 4% 또는 10억원 이상 |
*K-OTC에서 거래되는 벤처기업의 주식의 대주주: 4% 또는 40억원 이상
3. 국내주식 대주주 양도소득세율
국내주식 대주주 양도소득세율은 어떻게 되나요?
- ✅과세표준 3억원 이하: 22%(지방소득세 포함)
- ✅과세표준 3억원 초과: 27.5%(지방소득세 포함)
✅단, 대주주가 중소기업이 아닌 법인의 주식을 1년 미만 갖고 있다가, 팔면 33%(지방소득세 포함)를 내야 해요.
4. 국내주식 장외거래·비상장주식 양도소득세
국내주식을 장외 거래하거나, 비상장주식을 거래할 경우는 어떻게 하나요?
상장주식을 코스피, 코스닥, 코넥스 밖의 시장에서 장외거래하거나,
비상장주식을 거래하면 대주주, 소액주주 구분 없이 모두 양도소득세를 내야 해요.
단, 소액주주가 비상장주식 거래 시장 K-OTC에서 중소·중견기업 주식을 거래하면 세금을 내지 않아요.
- ✅중소기업 주식: 11%(지방소득세 포함)
- ✅중소기업이 아닌 주식: 22%(지방소득세 포함)
5. 국내주식 양도소득세 신고 방법
국내주식 양도소득세는 어떻게 신고하나요?
국내 주식 양도소득세는 양도하는 날짜가 속한 반기의 말일부터 2개월 안에 홈택스나 세무서에서 예정신고*를 하고,
다음 해 5월에 확정신고**를 하면 돼요.
*예정신고: 양도소득이 생기면 바로 신고하고 내는 중간 단계
**확정신고: 예정신고에서 누락되거나 잘못된 부분을 수정하고, 연간 소득을 종합해서 최종적으로 결정하는 단계



오늘은 국내 주식 양도소득세, 비상장주식 양도소득세, 주식 양도세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포스팅이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함께보기 좋은 글❤️
국내 주식 세금 3가지 정리: 배당소득세, 증권거래세, 양도소득세
국내 주식 세금 3가지 정리: 배당소득세, 증권거래세, 양도소득세
주식 거래 해보셨나요? 주식 투자를 하면 세금을 내야 한다는 사실~ 알고 계신가요? 현재 국내주식 세금의 종류는 배당소득세, 양도소득세, 증권거래세 총 3가지가 있는데요. 오늘은 국내 주식
daymoa.com
미국주식 세금신고 방법, 해외주식 양도소득세 절세 방법
미국주식 세금신고 방법, 해외주식 양도소득세 절세 방법
미국주식으로 생긴 수익을 절세하는 방법이 있나요? 저번 포스팅에서는 미국주식, 해외주식으로 수익을 내면 납부하게 되는 양도소득세를 알아보았는데요. 오늘은 미국주식, 해외주식 세금신
daymoa.com
'├─ 경제 생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인 과세 유예 확정, 가상자산 과세 유예 (0) | 2025.07.21 |
---|---|
국내 주식 세금 3가지 정리: 배당소득세, 증권거래세, 양도소득세 (0) | 2025.07.19 |
미국주식 세금신고 방법, 해외주식 양도소득세 절세 방법 (0) | 2025.07.18 |
미국주식 세금 해외주식 양도소득세 세율, 배당소득세 세율, 금융소득종합과세 (0) | 2025.07.17 |
알아두면 좋은 세금 시리즈 1 - 6. 아파트 재산세 부과기준, 과세표준, 재산세계산시, 재산세 납부내역 조회 (0) | 2025.07.16 |
알아두면 좋은 세금 시리즈 1 - 5. 양도소득세 대상, 신고방법, 양도소득세율, 비과세 감면조건 알아보기 (0) | 2025.07.15 |
알아두면 좋은 세금 시리즈 1 - 4.소득세 종류, 소득세 구간, 세율, 소득세 계산방법 정리 (0) | 2025.07.14 |
알아두면 좋은 세금 시리즈 1 - 3. 재산세 감면 신청, 대상, 방법, 절세 방법, 2025 재산세 달라지는 점 (0) | 2025.07.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