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주식 투자하고 계신가요?
오늘은 미국 주식 투자자라면 꼭 알아야할 세금에 대해서 정리해볼게요.
해외주식 양도소득세란 해외주식을 팔아 벌어들인 돈이 일정 금액을 넘으면 내야 하는 세금이에요.
최근 미국 주식에 투자하는 분들이 늘어나면서 양도소득세율 등 미국 주식 세금에 대해 궁금해하는 분들이 많아졌어요.
오늘은 미국주식, 즉 해외주식 투자 시 세금 종류와 세율을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 해외주식이란? 해외주식 개념
- 해외주식 세금 종류별 세율
- 해외주식 양도소득세, 양도소득세율, 미국주식 양도소득세
- 해외주식 배당금 세금, 배당소득세, 배당소득세율
- 해외주식을 포함한 금융소득 2천만원 넘는다면 '금융소득종합과세'
1. 해외주식이란? 해외주식 개념
해외주식은 해외 증권시장에 상장한 주식이에요.
✔️이때 우리나라 증권시장에 상장된 외국 법인이나, 해외 증권시장에 상장된 우리나라 법인은 해외주식에서 제외돼요.
예를 들어 쿠팡은 미국 나스닥에 상장했기 때문에 해외주식이고요.
해외에 상장된 ETF(상장지수펀드)도 해외주식으로 보고 해외주식과 똑같이 세금을 매겨요.
2. 해외주식 세금 종류별 세율
✔️해외주식을 팔아서 차익, 즉 수익을 남길 때 양도소득세가 부과돼요.
✔️그리고 해외주식을 보유하면서 얻는 배당소득에는 배당소득세가 부과돼요.
미국주식, 해외주식의 양도소득세와 배당소득세의 각각의 세율은 아래 표를 참고해주세요 ⤵️
세금 종류 | 세율 |
양도소득세 | 연간 수익 250만원 이하: X 연간 수익 250만원 초과: 22% (양도소득세 20% + 지방소득세 2%) |
배당소득세 | 미국: 15% 중국: 10% 일본: 15.315% 국내: 15.4%(지방소득세 포함) |
3. 해외주식 양도소득세, 양도소득세율, 미국주식 양도소득세
📌주식 양도소득세(양도세)는 주식을 팔고 이익이 생겼을 때 납부하는 세금이에요.
흔히 '미국 주식 세금은 250만원부터 낸다'라고 하는데, 그게 바로 이 양도소득세예요.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주식을 팔고 생긴 연간 수익을 기준으로 세금을 매겨요.
*양도소득세율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아요. ⤵️
- - 250만원 이하: 세금을 내지 않아요(공제).
- - 250만원 초과: 22%(양도세 20% + 지방소득세 2%)의 세금을 내야 해요
- (단, 외국에 상장된 국내 중소기업 주식은 지방소득세를 포함해 11%).
📌해외주식 양도소득세는 손실과 이익을 합친(손익통산) 순이익을 기준으로 세금을 매겨요.
예를 들어, 엔비디아를 팔아 1년에 900만원 이익을 얻었는데 테슬라로 300만원 손해를 봤다면 순이익은 600만원이죠.
여기서 250만원을 공제하고 남은 350만원에만 22% 세율이 적용되니까 양도세로 77만원을 내야 해요.
4. 해외주식 배당금 세금, 배당소득세, 배당소득세율
회사 주식을 보유하면, 해당 회사에서 주기적으로 이익을 나눠주는데요.
이걸 ‘배당’이라고 해요.
그리고 배당금에 대한 세금을 ‘배당소득세’라고 하고요.
✔️배당소득세는 내가 투자한 나라에 내지만, 우리나라에도 내야 할 때도 있어요.
- ✅해외에 내는 배당소득세: 배당소득세율은 나라마다 다른데요.
- 미국은 15%, 중국은 10%, 일본은 15.315%, 홍콩은 0%예요.
- ✅우리나라에 내는 배당소득세: 해외에 배당소득세를 냈더라도 우리나라에 추가로 내야 할 때도 있어요.
- 만약 해외주식의 현지 세율이 우리나라 배당소득세율 15.4%(소득세 14%+지방소득세 1.4%)보다 낮으면 차액만큼 우리나라에 내야 해요.
예를 들어, 중국의 세율은 10%이기 때문에 차액 4.4%만큼 한국에 추가로 내야 해요.
반면에 미국은 배당 세율이 15%로 우리나라 배당소득세율보다 높기 때문에 우리나라에 추가로 세금을 내지 않고요
해외주식 배당소득세 계산법
(우리나라 소득세율 - 현지 소득세율) × 1.1 (지방소득세 10%)
5. 해외주식을 포함한 금융소득 2천만원 넘는다면 '금융소득종합과세'
그렇다면 금융소득종합과세는 무엇인가요?
만약 예금, 적금에서 나온 이자 수익과 배당 수익을 합친 금융소득이 연간 2,000만원을 넘으면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로 분류돼요. 그러면 종합소득세를 내야 하는데요.
종합소득세는 근로소득, 사업소득 등과 합쳐 계산하고, 더 많이 벌수록 세금을 더 많이 내는 ‘누진세’가 적용되기 때문에 세금 부담이 확 커져요.
연간 금융소득 2,000만원까지는 15.4%(지방소득세 포함)가 원천징수 되고,
2,000만원을 넘는 금액은 6.6~49.5%(지방소득세 포함)의 세율이 적용돼요.
📌연간 금융소득이 2,000만원을 넘는다면 다음 해 5월에 종합소득 신고를 꼭 해야 돼요.
예를 들어, 연봉 1억원인 사람이 금융소득으로 연 3,000만원을 벌었다면
2,000만원은 15.4%의 세율이 적용돼 308만원이 원천징수 돼요.
하지만 나머지 1,000만원은 소득 1억원과 합산해 38.5%(지방소득세 포함, 과세표준 8,800만원 초과~1억5천만원 이하 구간)의 세율이 적용돼 385만원을 내야 해요.
초과된 1,000만원에 붙은 세금이 2,000만원에 붙은 세금보다 많은 거죠. 😂
재밌죠? ㅎㅎ
오늘은 미국주식 세금 해외주식 양도소득세 세율, 배당소득세 세율,
그리고 금융소득종합과세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제 글이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함께보기 좋은 글❤️
미국주식 세금신고 방법, 해외주식 양도소득세 절세 방법
'├─ 경제 생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내 주식 양도소득세, 비상장주식 양도소득세, 주식 양도세 정리 (0) | 2025.07.20 |
---|---|
국내 주식 세금 3가지 정리: 배당소득세, 증권거래세, 양도소득세 (0) | 2025.07.19 |
미국주식 세금신고 방법, 해외주식 양도소득세 절세 방법 (0) | 2025.07.18 |
알아두면 좋은 세금 시리즈 1 - 6. 아파트 재산세 부과기준, 과세표준, 재산세계산시, 재산세 납부내역 조회 (0) | 2025.07.16 |
알아두면 좋은 세금 시리즈 1 - 5. 양도소득세 대상, 신고방법, 양도소득세율, 비과세 감면조건 알아보기 (0) | 2025.07.15 |
알아두면 좋은 세금 시리즈 1 - 4.소득세 종류, 소득세 구간, 세율, 소득세 계산방법 정리 (0) | 2025.07.14 |
알아두면 좋은 세금 시리즈 1 - 3. 재산세 감면 신청, 대상, 방법, 절세 방법, 2025 재산세 달라지는 점 (0) | 2025.07.13 |
알아두면 좋은 세금 시리즈 1 - 2. 재산세 부과기준, 과세표준, 기준일, 납부방법 알아보기 (0) | 2025.07.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