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인 거래 해보신 적 있으신가요?
가상자산 과세 유예 내용이 포함된 소득세법 개정안이 2024년 12월 국회를 통과했어요.
가상자산 과세 유예에 따라 가상자산 투자 수익 중 일부를 세금으로 내는 시기가 2025년에서 2027년으로 늦춰졌어요.
오늘은 가상자산 과세 유예 배경과 관련된 이슈를 설명해 드릴게요.
목차
1. 코인 과세, 가상자산 과세 법안이란?
가상자산 과세 법안이란 비트코인·이더리움·리플 등 가상자산에 투자한 수익금에 세금을 매기는 법이에요.
✅과세대상은 가상자산을 양도 또는 대여하면서 생긴 소득이죠.
가상자산 과세 법안에 따르면 가상자산으로 얻은 소득은 기타소득으로 분류되는데요.
그때그때 세금을 떼어가는 분리과세가 적용됩니다.
*가상자산 세율
가상자산 세율은 기본 20%로, 지방세를 포함해서 22%가 적용될 예정이었습니다.
연간 250만원을 초과한 투자 수익에 대해 이 세율이 적용되는 거였어요. 😲
A코인 1개를 1,000만원에 사서 2,250만원에 팔았다면 세금을 얼마나 내야 하는지 계산해 볼까요?
① A코인에 대한 투자수익 1,250만원에서 250만원을 빼요.
② 1,000만원에 22%를 곱해서 나온 220만원이 세금이에요.
2. 가상자산 코인과세 유예된 이유
가상자산 과세 유예는 이번이 3번째예요.
2020년 하반기 가상자산 거래량이 급증하면서, 가상자산 투자 수익에 대해 소득세를 과세해야 한다는 주장이 불거졌지요.
이에 따라, 정부는 2020년 세법 개정안으로 가상자산 양도·대여 소득에 대한 과세안을 국회에 제출했어요.
그 해 12월 가상자산 과세를 포함해 소득세법이 개정됐어요.

가상자산 과세는 가상자산 거래소 신고·승인 기간 등을 고려해 2022년 1월 시행될 예정이었죠.
하지만 과세에 대해 우려하는 의견이 많아지면서, 여야 합의로 두 차례에 걸쳐 총 3년간 시행이 미뤄졌어요.
2024년 12월 국회 본회의에서 가상자산 과세 유예를 담은 소득세법 개정안이 의결되면서,
가상자산에 대해 세금을 내는 시기가 2027년 1월로 연기됐습니다.
정부는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이 시장에 제대로 안착한 뒤에 과세하는 게 적절하다는 입장이에요.
3. 가상자산 코인 과세 반대 이유
가상자산 과세를 반대하는 사람들은 정부가 비트코인, 이더리움, 리플과 같은 가상자산을 정식 자산으로 인정하지 않았다고 지적해요.
미국에는 비트코인 선물 ETF(상장지수펀드)와 현물 ETF가 상장돼 있으며, 홍콩에서는 비트코인·이더리움 현물 ETF를 거래할 수 있습니다.
또 금투세(금융투자소득세)가 폐지됐다는 점에서 형평성에 맞지 않다는 주장이 있어요.
4. 가상자산 코인 과세 찬성 이유
가상자산에 세금을 매기는 걸 찬성하는 사람들은 소득이 있는 곳에서는 세금이 있다는 원칙을 강조해요.
개인과 법인 간의 형평성에도 맞지 않다는 점도 문제로 제기됐어요.
이미 법인들은 가상자산을 매매하면 법인세 형태로 세금을 내고 있기 때문이죠.

개인과 달리 법인만 가상자산 세금을 내고 있다는 점이 불공평하다는 주장이에요.
5. 가상자산 코인 과세 법안 살펴보기(주요국들)
가상자산 과세 법안과 관련해서 과세 체계의 보완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가상자산 과세에 대한 체계는 2020년 말 소득세법 개정으로 마련된 후 그대로 유지되고 있기 때문이죠.
해외에서는 이미 가상자산 소득에 대한 과세 체계가 구축돼 있고, 다양한 세금 감면 혜택을 시행하고 있어요.
우리나라도 이런 사례를 참고하여 과세 인프라 구축과 다른 투자자산과의 과세 형평성 문제 등에 대해 활발한 논의가 진행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요.
오늘은 코인 과세 유예 확정, 가상자산 과세 유예에 대해서 알아보았어요.
포스팅이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 경제 생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내 주식 양도소득세, 비상장주식 양도소득세, 주식 양도세 정리 (0) | 2025.07.20 |
---|---|
국내 주식 세금 3가지 정리: 배당소득세, 증권거래세, 양도소득세 (0) | 2025.07.19 |
미국주식 세금신고 방법, 해외주식 양도소득세 절세 방법 (0) | 2025.07.18 |
미국주식 세금 해외주식 양도소득세 세율, 배당소득세 세율, 금융소득종합과세 (0) | 2025.07.17 |
알아두면 좋은 세금 시리즈 1 - 6. 아파트 재산세 부과기준, 과세표준, 재산세계산시, 재산세 납부내역 조회 (0) | 2025.07.16 |
알아두면 좋은 세금 시리즈 1 - 5. 양도소득세 대상, 신고방법, 양도소득세율, 비과세 감면조건 알아보기 (0) | 2025.07.15 |
알아두면 좋은 세금 시리즈 1 - 4.소득세 종류, 소득세 구간, 세율, 소득세 계산방법 정리 (0) | 2025.07.14 |
알아두면 좋은 세금 시리즈 1 - 3. 재산세 감면 신청, 대상, 방법, 절세 방법, 2025 재산세 달라지는 점 (0) | 2025.07.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