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을 아시나요?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은 청년 주거 안정을 위한 ‘청년 내 집 마련 123 주거지원 방안’의 첫 번째 정책이에요.
이 방안은 청약통장을 시작으로 청약통장과 대출을 연계하고 대출 후에도 결혼, 출산, 다자녀 등 생애 주기에 맞춘 추가 혜택까지 제공하는 종합적인 지원정책인데요.
오늘은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 가입(전환) 요건부터 혜택, 가입 방법까지 정리해 드릴게요.
목차
-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이란?
-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 가입, 전환 대상
-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 혜택 - ①금리
-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 혜택 - ②비과세
-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 혜택 - ③대출
-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 혜택 - ④중도출금, 추가납입
1.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이란?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청년주택청약)은 19세 이상 34세 이하 청년들의 자산 형성과 주거 안정을 지원하기 위한 청약 상품이에요.
참고로 2024년 2월 출시되었어요.
월 2만원부터 100만원까지 납입이 가능한데요.
가입 요건을 충족하면 주택청약종합저축도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으로 전환할 수 있어요.


2.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 가입, 전환 대상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에 가입하려면 아래 요건을 만족해야 해요.
1. 나이
가입(전환)일 기준 19세 이상 34세 이하(거주자)
2. 소득
- 총 급여액 5,000만원 이하인 근로소득자
- 종합소득금액 5,000만원 이하인 사업소득자 및 기타소득자
- 비과세 소득만 있는 자 중 현역병, 사회복무요원 등*으로 복무중이거나 복무를 마친 자(단, 직전 과세기간 중 복무한 기간이 1일 이상 반드시 포함)
(*현역병, 상근예비역, 의무경찰, 해양의무경찰, 의무소방원, 사회복무요원, 대체복무요원 등)
3. 무주택자
- 가입(전환)일 기준 주택을 소유하지 않은 사람
3.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 혜택 - ①금리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은 납입금액 5,000만원 한도 내에서 최대 10년까지 주택청약종합저축보다 높은 금리를 적용받을 수 있어요.
단, 가입(전환)일로부터 2년 이상 유지해야 하는데요.
또 통장을 해지할 때 지방세 세목별 과세 증명서를 통해 본인의 무주택 기간을 증명해야 해요.
4.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 혜택 - ②비과세
비과세는 발생한 이자소득에 대해 세금을 매기지 않는다는 의미인데요.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은 이자소득 500만원(납입금액 연 600만원 한도)까지 비과세가 적용돼요.
가입(전환)일 기준 무주택 세대의 세대주 또는 세대주의 배우자로 아래 요건을 충족해야 해요.
- 가입(전환) 직전년도 총 급여액 3,600만원 이하 근로소득자 또는 종합소득금액 2,600만원 이하
- 가입(전환) 시 무주택확인서 제출
- 가입(전환)일로부터 2년 이상 유지
- 가입(전환)일로부터 직전 3개 과세기간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과세기간이 금융소득종합과세대상이 아닌 경우
5.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 혜택 - ③대출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 가입자를 위한 청년 주택드림 디딤돌 대출이 2025년 4월 18일 출시됐어요.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으로 주택청약에 당첨된 경우 아래 요건을 만족하면 주택 가격의 최대 70% 한도 내에서 미혼은 최대 3억, 신혼부부는 최대 4억까지 대출이 가능해요.
6.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 혜택 - ④중도출금, 추가납입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 가입자가 주택청약에 당첨되면 계약금 납부 목적으로 1회에 한해 일부 금액 출금이 가능해요.
또한 청약에 당첨되어 청약권이 사라져도 추가납입이 가능해 유연하게 자금을 운용할 수 있어요.
'├─ 경제 생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집주인 실거주 허위사실에 대한 입증책임 강화, 하지만 임대차 2법의 한계 (0) | 2025.08.13 |
---|---|
청약 특별공급 일반공급 차이, 특별공급 유형별 신청자격 (0) | 2025.08.12 |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 가입 필요서류, 전환 필요서류, 자주 묻는 질문 정리 (0) | 2025.08.11 |
주민세 환급 방법, 자주 묻는 질문 정리 (0) | 2025.08.09 |
2025 주민세 납부 기간, 신고, 납부 방법, 종류 총정리 / 8월은 주민세의 달 (0) | 2025.08.08 |
국세청 원클릭 환급신고 서비스, 합법적으로 세금 돌려받는 방법 (0) | 2025.08.07 |
고향사랑기부제 이용 방법, 기부자 혜택 정리 / 고향에 기부하고 100% 답례품도 받자 (0) | 2025.08.06 |
고향사랑기부제로 10만원 기부하면 연말정산 세액공제 10만원에 답례품까지? / 고향사랑e음 알아보기 (0) | 2025.08.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