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경제 생활 정보

종부세, 종합부동산세 자주 묻는 질문 정리 / 1주택 공동소유, 중과배제, 합산배제 주택

저도 종부세, 종합부동산세는 부과 대상인가요?

 

 

부동산이 있는 분들이라면 누구나 종합부동산세에 대해 걱정하시는데요.

오늘은 종합부동산세에 대한 궁금해하실 만한 내용들, 자주 묻는 질문들을 정리해보겠습니다.

 

종부세, 종합부동산세 자주 묻는 질문 정리 / 1주택 공동소유, 중과배제, 합산배제 주택

 


목차

 


1. 2024 종부세, 작년과 비교해 달라진 점

달라진 점은 크게 두가지입니다.

하나씩 살펴볼까요?

 

① 다주택자 중과배제 주택 추가

중과배제 주택이란 다주택자의 세금 부담을 줄이기 위하여 정부가 예외로 지정한 주택입니다.

여기에는 상속주택, 무허가주택 부속토지 등이 해당됩니다.

 

집을 여러 채 가진 다주택자는 비교적 높은 세율이 적용되는데요. 

중과배제 주택에 해당하면 높은 세율이 적용되지 않습니다.

 

2024년에는 ▲소형 신축주택과 ▲비수도권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이 중과배제 주택으로 추가되었습니다.

 

종부세, 종합부동산세 자주 묻는 질문 정리 / 1주택 공동소유, 중과배제, 합산배제 주택종부세, 종합부동산세 자주 묻는 질문 정리 / 1주택 공동소유, 중과배제, 합산배제 주택종부세, 종합부동산세 자주 묻는 질문 정리 / 1주택 공동소유, 중과배제, 합산배제 주택

 


 

② 합산배제 주택 범위 확대

종부세 합산배제 주택종부세를 계산할 때, 계산에서 제외되는 주택입니다.

합산배제 신고 대상은 아래와 같아요. 

전용면적 및 공시가격 등 요건을 갖춘 임대주택

사원용 주택(기숙사, 미분양 주택 등)

주택건설 사업자가 주택 건설을 위해 취득한 토지

 

2024년에는 ▲공공주택사업자가 소유한 지분적립형 분양주택과 ▲CR리츠가 취득하는 비수도권 미분양 주택 합산배제 주택으로 범위가 확장되었습니다.

 

종부세, 종합부동산세 자주 묻는 질문 정리 / 1주택 공동소유, 중과배제, 합산배제 주택종부세, 종합부동산세 자주 묻는 질문 정리 / 1주택 공동소유, 중과배제, 합산배제 주택종부세, 종합부동산세 자주 묻는 질문 정리 / 1주택 공동소유, 중과배제, 합산배제 주택

 


 

2. 배우자 또는 가족과 1주택을 공동 소유하고 있어요. 종부세 얼마나 공제되나요?

 배우자 또는 세대원이 주택을 공동 소유한 경우, 소유자별로 각각 1주택을 보유한 것으로 여깁니다.

따라서 각각 9억원씩 공제받을 수 있습니다.

 


단, 부부 공동명의로 1주택을 보유했다면 특례 신청 시 1세대 1주택자로 인정받습니다.

따라서 12억원이 공제되고 연령 및 보유기간에 따른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어요.

종부세, 종합부동산세 자주 묻는 질문 정리 / 1주택 공동소유, 중과배제, 합산배제 주택종부세, 종합부동산세 자주 묻는 질문 정리 / 1주택 공동소유, 중과배제, 합산배제 주택종부세, 종합부동산세 자주 묻는 질문 정리 / 1주택 공동소유, 중과배제, 합산배제 주택

 


 

3. 종부세를 잘못 신고하거나 늦게 납부하면 불이익이 있나요?

네, 가산세를 내야합니다.

가산세는 세금을 늦게 내거나, 잘못 신고했을 때 추가로 내야하는 세금이에요.

가산세에 대해선 아래에서 더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

 

계산 실수, 제출 서류 누락으로 종부세 적게 신고하면?

적게 신고한 금액의 10%에 달하는 과소신고가산세가 부과돼요.

 

고의적으로 종부세 적게 신고하면?

40%에 달하는 가산세를 내야 합니다.

또한 납부기한의 다음날부터 납부하는 날까지 과소납부한 세액에 1일마다 0.022%의 납부지연가산세가 추가로 부과돼요.

 

종부세 납부기한 안에 납부하지 않으면?

납부지연가산세가 3% 부과돼요.

납부할 종부세가 150만원 이상이면 납부기한이 지난 후 1일마다 0.022%의 납부지연가산세가 추가됩니다.

 

종부세, 종합부동산세 자주 묻는 질문 정리 / 1주택 공동소유, 중과배제, 합산배제 주택종부세, 종합부동산세 자주 묻는 질문 정리 / 1주택 공동소유, 중과배제, 합산배제 주택종부세, 종합부동산세 자주 묻는 질문 정리 / 1주택 공동소유, 중과배제, 합산배제 주택

 


 

4. 종부세, 종합부동산세 절세 꿀팁 정리

📌종부세 과세 기준일인 6월 1일은 피하세요.
주택을 파는 경우 잔금일을 5월 31일 이전으로, 사는 경우 6월 2일 이후로 선택하면 좋아요.


📌부부 공동명의로 1주택을 보유했다면 특례 적용이 유리할지 불리할지 잘 따져보세요.
특례 적용을 받으면 공제금액은 12억원, 세액공제는 나이와 보유기간에 따라 최대 80%까지 받을 수 있어요. 

특례 적용을 받지 않으면 부부 각각 9억원, 합산 18억원을 공제받을 수 있어요. 

하지만 세액공제는 적용되지 않아요.

 


📌카드사 종부세 납부 이벤트를 확인해보세요.
무이자 할부나 다양한 이벤트를 활용할 수 있어요. 

납부대행수수료는 신용카드 0.8%, 체크카드 0.5%입니다. 

 


 

오늘은 종부세, 종합부동산세 자주 묻는 질문을 정리해보았습니다.

포스팅이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